장신상 횡성군수가 횡성군민의 실질적인 생활권인 원주시와 정책적 기능적 통합을 제안하고 나섰다.
지난 13일 장신상 횡성군수는 정례브리핑을 통해 새롭게 시행되는 지방자치법에 2개 이상의 단체가 공동으로 특정한 목적을 위해 광역적으로 사무 처리의 필요가 있을 경우 특별자치단체를 설치할 수 있다는 운영 근거를 들어 원주시에 이를 먼저 제안하고 나섰다.
장 군수는 횡성과 원주는 원주 공항 활성화 및 기능확대, 국도 5호선 확장 및 수도권 전철 횡성 연장,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군용기 소음피해 공동 대응 등의 공동 협력 현안을 예시하고, 법령 근거에 따라 횡성-원주 공동 현안의 실질적 해결을 위해 특별자치단체 또는 지방자치단체조합 설치를 통해 통합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원도는 3대 강소도시권 중 횡성과 원주는 한 권역으로 묶여 있으며, 이미 강원도는 특별자치단체, 강원형 강소 메가시티를 도정 발전의 미래 전략으로 삼고 협력을 통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정부 역시 강원형 강소 메가시티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책을 약속했다.”며,
“횡성군과 원주시가 강원영서권 메가시티 전략 수립의 중추로 성공적인 협력과 통합의 모델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원주에 조성된 혁신도시와 기업도시를 연계하여, 횡성에 첨단복합도시(행정도시)조성을 추진하는 방안 등이 실현된다면, 지역 균형 발전 및 윈-원 전략의 시너지 효과는 극대화될 것”이라며 횡성에 행정도시 조성 추진을 제안했다.
원창묵 원주시장은 17일 현안 브리핑을 통해 “원주시민과 횡성군민이 통합에 찬성한다면 특례를 인정받아 지역발전을 앞당길 수 있는 인구 50만 도시에도 가까워지는 만큼, 원주 횡성 공동현안 추진협의회를 통해 특별자치단체 구성을 포함한 실질적인 행정구역 통합까지도 논의해볼 수 있을 것”이라며,
“지역 간 통합은 지역사회 합의를 전제로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 원주 횡성 주민이 원한다는 전제하에 통합시기를 2030년 정도로 추진하면 정치권의 저항을 줄이고 통합준비를 위한 시간도 충분히 가질 수 있다.”며 “차기 시정에서 신중하고 면밀하게 검토해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sisagw@naver.com
기사제보 및 보도요청 sisagw@naver.com
강원도민을 위한 시사정론 시사강원신문사
Copyright © 시사강원신문사 www.sisagw.com 무단복제 및 전재 금지